on(이벤트){
}
때 (집에오면){
세수하기;
밥먹기;
잠자기;
}
on : 버튼 이벤트 핸들러...
onClipEvent(이벤트){
}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주소 : 부모 무비클립의 경로명
이름 : 자기 자신의 이름
경로명 : 주소 + 이름
on(press){ //누르면
_root.blue.stop();
}
on(release){
//떼면
_root.blue.play();
}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메서드(method):
무비 클립을 제어하는 수단(방법)
EX) stop(), play(), gotoAndStop(), gotoAndPlay(), nextFrame(), prevFrame()
gotoAndStop(20) //20번 프레임으로 가서 수행
20.........전달하는 변수...매개변수
사용법 : 무비클립경로명.메서드
_root.bird.stop();
_root.bird.nextFrame();
play(), stop() : 무비 클립의 플레이 헤드를 정지, 재생하라 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무비클립의 속성(properties) -> 무비클립의 특징
ex) _x, _y, _width, _height, _xscale, _yscale, _alpha, _rotaiton, _visible,
_currentFrame, _totalFrames, _xmouse, _ymouse
사용법 : 무비클립 경로명.속성
_root.bird._x, _root.bird._width
오브젝트(물체) : 메서드(제어하는 수단....핸들,브레이크,엑셀), 속성(특징...높이,특징,색상)
왜 visible을 사용하는가?? alpha를 안쓰고..